검색결과 본문 이전 검색어 입력폼 검색어를 입력 하세요. 검색어 삭제 검색 제안 검색어 항목141 저자0 출처0 멀티미디어16 연감0 항목 만종 〈만종〉의 배경이 된 보리밭, 랑젤뤼 간의 집에서 조금 더 걸어가 사거리에서 우회전해서 2~3분 정도 걸으면 보리밭이 있는데, 바로 이곳이 〈만종〉의 배경이 된 곳이다. 〈만종〉은 1859년 해질녘을 알리는 교회의 종소리가 울리는 가운데 삼종 기도를 바치는 농민의 모습이 신비롭게 묘사된 작품이다. * 장 프랑수와 밀레 1814년~1875년. 사실파 화가이자... ENJOY 파리 만종 萬宗 고려후기 무신집정자 최우의 서자로 선사의 승계가 제수된 승려. | 개설 본관은 우봉(牛峯). 속성은 최씨. 고종 때의 무신집정자인 최우(崔瑀)의 서자이며, 최항(崔沆)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이가 병권(兵權)을 사위인 김약선(金若先)에게 맡기려 했으나, 두 아들이 반발할까 두려워 모두 송광사(松廣寺)로 보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종 L'Angelus 프랑스의 화가 J. F. 밀레(1814~75)의 작품(1859). | 파리 근교의 바르비종에서 전원 생활과 풍경을 그린 바르비종파의 하나인 밀레의 대표작이다. 가을걷이를 끝낸 저녁, 멀리서 들려오는 종소리에 기도하는 두 사람의 모습이 부드러운 필치로 묘사되었으며, 원경의 평화로운 분위기로 더욱 유명한 작품이다. 파리의 루... 다음백과 장 프랑수아 밀레 〈만종〉 외 비교적 먹고살 만한 농가의 아들로 태어난 장 프랑수아 밀레(Jean-François Millet, 1814~1875)는 파리에서 미술을 공부한 뒤 잠시 고향으로 돌아와 유지들의 초상화를 그리며 생활했지만, 미술계에 온전히 몸을 담기 위해 다시 파리로, 그리고 바르비종으로 삶의 터전을 완전히 옮겼다. 그는 첫 부인과 사별한 후 재혼... 오르세 미술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만종 萬宗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이찬으로 상대등을 역임한 관리. | 내용 관등(官等)은 이찬(伊飡). 764년(경덕왕 23) 정월에 상대등에 임명되어, 768년(혜공왕 4) 이찬 신유(神猷)가 상대등에 임명될 때까지 재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종 晩種, The Angelus 조택원의 대표적 현대 무용. | 구성 및 형식 쇼팽의 야상곡, 밀레의 만종을 가지고 우리 농촌을 그려낸 현대무용으로 무용시 형식의 남녀 2인무 작품이다. 조택원의 상대역은 박외선(朴外善)이다. 내용 19세기 사실주의 화가인 밀레(Jean Francois Millet)의 그림 ‘만종’(晩鐘)은 땅과 더불어 살다가 땅으로 돌아가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효첨 魚孝瞻 동의어 만종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 본관은 함종. 자는 만종(萬從), 호는 구천(龜川). 아버지는 집현전직제학 변갑(變甲)이다. 좌의정 박은(朴訔)의 사위이다. 1429년(세종 11)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로 등용되었다. 1443년 집현전교리로 있을 때 서연관을 겸하여, 〈예기〉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모아 주석을 단 〈예... 다음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 (고려) 만종(萬宗) 혹은 최만종(崔萬宗, ? ~ ?)은 고려 후기 무신정권 시대의 불교 승려로 무신정권 집권자인 최충헌의 손자이자 최우의 아들(서자, 庶子)이며 최항의 형이다. 본관은 우봉(牛峯)이다. 고려시대 무신정권 집권자인 최우의 서자로 창기인 서련방의 소생이었다. 그는 동생 만전과 함께 송광사(松廣寺)로 가서 승려...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 만종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만종(萬宗)은 고려의 승려이자 무인시대 집권자인 최우(崔瑀)의 서자이다. 홍만종(洪萬宗, 1643년 ~ 1725년)은 조선 효종 때의 문신이다. 조만종(曺萬鍾, 1902년 ~ 1988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만종(晩鐘, The Angelus)은 장프랑수아 밀레의 작품 중 하나이다. 만종은 1970년 개봉...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 (1970년 영화) 영화 정보 만종은 1970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최은희 김진규 신성일 김창숙 최불암 최남현 한은진 김신재 송상균 박지현 이예성 김웅 성소민 제5회 백마상 신인배우상 - 김창숙 위키백과 시칠리아 만종 학살 Sicilian Vespers 프랑스인 2,000명을 학살했다. 곧 전역에서 반란을 일으킨 시칠리아인들은 아라곤에 지원을 요청했고 8월 30일 아라곤 부대가 트라파니에 상륙했다. 시칠리아 만종 전쟁은 확산되었다. 앙주 가문은 교황청과 이탈리아의 구엘프(교황파) 및 프랑스 왕 필리프 3세의 지원을 받았으며, 아라곤은 이탈리아의 기벨린(황제파... 다음백과 만종일련 萬宗一臠 내용 1922년 조선예수교서회에서 발행하였다. 1909년부터 1910년까지 자신이 편집을 맡고 있던 『신학월보(神學月報)』에 공자교(孔子敎)·이슬람교·힌두교·불교 등을 논한 「사교고략 四敎考略」을 연재하였고, 다시 1916년부터 1920년까지 협성신학교 교지인 『신학세계(神學世界)』에 종교변증론을 발표한 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효첨 만종(萬從), 魚孝瞻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만종(萬從), 호는 구천(龜川). 어백유(魚伯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목사 어연(魚淵)이고, 아버지는 집현전직제학 어변갑(魚變甲)이다. 어머니는 직제학 성사제(成思齊)의 딸이다. 좌의정 박은(朴訔)의 사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23년(세종 5) 생원시에 합격하고, 1429년 식년 문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시칠리아의 만종 Sicilian Vespers, シチリアの晩祷 시칠리아의 만종은 1282년 부활절(3월 30일)에 시칠리아 왕국에서 앙주 카페가의 시조 카를루 1세에게 대항하여 일어난 반란이다. 6주에 걸쳐 이어진 반란에서 3천여명의 프랑스인들이 살해당했고, 카를루 1세는 왕국에서 쫓겨났다. 이 사건은 후에 아라곤 연합왕국(트리나크리아 왕국)과 나폴리 왕국간의 전쟁으로...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역 Manjong station, 万鍾駅 철도역 정보 만종역(Manjong station, 萬鍾驛)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에 위치한 경강선의 철도역이다. 2021년 중앙선 서원주~봉양간 복선전철 개통 이후로, 강릉선 KTX만 정차한다. 마을 앞에 있는 비로봉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망종(望宗)이 변하여 만종이 되었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1942년 9월 1일...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초등학교 좌표만종초등학교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에 있는 초등학교이다. 1947년 4월 15일 호저국민학교 만종분교장 1953년 4월 3일 만종국민학교 개교식 거행 1955년 5월 14일 신축공사 기공식(현 위치) 1988년 3월 1일 명신분교 본교에 통폐합 1996년 3월 1일 만종초등학교로 개칭 1996년 3월 2...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만종 분기점 万鍾ジャンクション Manjong Junction, 만종JC)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와 지정면 신평리에 걸쳐 설치된 영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가 만나는 분기점이다. 1994년 12월 12일에 중앙고속도로 만종 분기점 - 남원주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설되었다. 1994년 12월 15일 : 중앙고속도로 남원주 ~ 만종 구간 개통과 함께...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2024년 대한민국 폭설 2024 South Korean snowstorm 54곳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고성군에서는 군도 8호선의 6.6㎞ 구간이 전면 통제되었다. 11월 27일 오후 5시 50분경,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 지방도 제409호선 만종교차로 부근에서 53중 추돌사고가 발생하였다. 11월 27일 오전 8시경, 진안군 진안읍 익산포항고속도로에서 25톤 화물 트레일러가 전도되어, 적재되어 있던... 위키백과 정보제공 사이트로 이동 Sicilian Vespers 시칠리아 만종 사건, シチリアの晩祷 The Sicilian Vespers (Italian: Vespri siciliani; Sicilian: Vespiri siciliani) is the name given to the successful rebellion on the island of Sicily that broke out on the Easter of 1282 against the rule of the French-born king Charles I, who had ruled the Kingdom of Sicily since 1266. Within six... 영어 위키백과 만종법 漫種法 우기(雨期)에 골에 침수의 우려가 있는 하작물(夏作物)은 농종법이 좋으나 배수가 잘 되는 비탈밭에는 아직도 목초(牧草)나 잔디 같은 작물을 만종법으로 파종함이 유리하다. 만종법은 시대나 농서에 따라 의미는 같으면서도 그 표현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우리 농서에 영향을 많이 준 중국 농서로 532년경에 편찬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보기 20/141 이전 검색어 입력폼 검색어를 입력 하세요. 검색어 삭제 검색 제안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