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본문 이전 검색어 입력폼 검색어를 입력 하세요. 검색어 삭제 검색 제안 검색어 항목69,531 저자1 출처48 멀티미디어1,000 연감586 항목 정 情 맹자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능력을 성이라 했고, 이 본성의 4가지 단서로 측은·수오·사양·시비의 마음을 들었다. 송대 이후의 성리학자들은 사단을 대표적인 선정으로 파악했다. 순자는 자연 그대로의 성과 그에 바탕을 둔 정은 악한 것이며, 따라서 사람은 주체적 행위에 의해 정욕을 제어해야 한다... 다음백과 정 鄭 성(姓)의 하나. 210개의 본관이 전하나, 오늘날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본으로는 경주·동래·연일·진양·하동·초계·나주·영일·청주·해주 등이 있다. 정씨는 대부분 신라 6촌의 하나인 자산의 진지촌장 지백호를 공통 시조로 하고 있다. 최고 종가를 이루는 경주 정씨는 지백호를 시조로 하며,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다음백과 정 情 사물이나 대상에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 | 내용 한국에서 정은 인간 본성의 하나다. 그것은 인간 내면의 속성이면서도 인간 행위의 양태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서 그것은 인간 의식의 내용이 됨으로써 인간관계의 매듭을 엮은 기능을 다하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이 인간 존재론과 인간의 사회적 관계론 안에 국한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丁 우리나라 고대·중세 사회에서 각종 부세와 역역(力役)의 담당자이며 호적 및 토지제도에서 기본적인 편제단위이자 분급 대상으로 규정되는 인칭(人稱). | 정남(丁男)·정호(丁戶)·인정(人丁) 등으로 호칭되었다. 통일신라에서 정은 21~59세에 이른 자를 지칭하는데, 국가에 대해 곡물과 포를 납부하는 조세와 군역의 ... 다음백과 정 丁 성(姓)의 하나. | 문헌에 70여 개의 본관이 전한다. 1985년도 조사에서 17개 본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덕성(丁德盛)을 시조로 하는 단일 혈족이라는 것이 통념이다. 정덕성은 중국 당(唐)나라 사람으로서 대상(大相:또는 문헌에 따라 大丞相)을 지냈으며 853년(신라 문성왕 15) 우리나라 서남부의 압해도(押海... 다음백과 정 정남(丁男), 丁 정(丁)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각종 조세와 국역을 부담하던 양인(良人) 남자의 통칭이자 고려시대의 경우 일정 면적의 토지이다. 정은 인정과 토지의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정은 16세에서 59세에 이르는 양인 남자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또한 일정 면적의 토지를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停 신라시대 주(州)에 설치된 군영·군사주둔지. | 내용 신라에서는 처음 왕경 6부(六部)의 소속원을 군인으로 징발하여 편성한, 6부병(六部兵)이 있어 수도를 수비하였다. 후에 이 6부병을 통합하여 대당(大幢)을 편성하였다. 이는 중고시대(中古時代) 군사력의 기본이 되는 6정(六停) 군단의 효시가 되었다. 544년(진흥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情 백태호(白泰昊)가 1967년에 제작한 염색공예 작품. | 개설 천 위에 염색, 세로 60㎝, 가로 100㎝. 개인 소장. 학의 형태를 단순한 면으로 처리하되 선의 방향과 색의 농담으로 화면에 율동감과 짜임새를 주었다. 야트막한 산이 중첩되는 아스라한 배경 위로 힘차게 날갯짓하며 날아가는 여러 마리의 학의 움직임을 정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鼎 삼족(三足)과 양이(兩耳)가 달린 고동기. | 개설 정(鼎)은 중국 고대 왕조인 상대(商代)부터 제작된 예기로, 덕(德)이 있는 왕조만 소유할 수 있다고 여기던 권력의 상징물이었다. 삼족과 양이가 달린 원형 정[圓鼎]과 사족(四足)과 양이가 달린 방형 정[方鼎]이 있으며, 북송대 예제 개혁과 관련한 고동기 수집과 감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正 조선시대 각 관서의 정3품 당하관직. | 내용 각 시(寺)·원(院)·감(監)의 장관과 종친부(宗親府)·돈녕부(敦寧府)·훈련원(訓鍊院) 등에 소속되었다. 정이 보임되는 관직으로는 봉상시(奉常寺)·종부시(宗簿寺)·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사섬시(司贍寺)·사도시(司䆃寺)·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윤휴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 후기 주자학이 지배하던 17세기 사상계에서 주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한 문인. 본관은 남원, 자는 희중, 호는 백호, 하헌으로 예송논쟁 때 남인으로 활동하며 송시열 등 서인세력과 맞섰으며, 숙종 즉위 후부터 남인 세력이 정치적으로 대거 축출될 때까지 많은 개혁안을 제기하고 실행하려 했다. 1680년 영의정 ... 다음백과 정 停 신라의 대표적인 군대조직의 하나. | 원래는 당(幢)과 통하는 말로서, 군대조직에 대한 범칭으로도 쓰였다. 처음에 정은 삼국간의 항쟁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는 6세기초에 대외 팽창과 방어를 위해 최전방에 설치한 일종의 군관구로서, 이 시기에 설치된 주(州)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따라서 자연히 주에 파... 다음백과 정 正 고려 후기 사복시(司僕寺) 등에 설치된 3·4품 관직. | 내용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단행한 관제개혁에서 사복시(司僕寺) · 사의서(司醫署) · 서운관(書雲觀) · 내알사(內謁司)의 속관으로 처음 설치되었다. 품계와 정원은 소속 관부에 따라 달랐는데, 사복시에는 정3품 정원 2인으로 그 가운데 1인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釘 돌을 쪼개거나 쪼며 구멍을 파고 글씨를 새기고 다듬을 때 사용하는 연장. | 내용 쇠를 다듬어서 한쪽 끝은 날을 세우고 반대쪽은 평평하게 만든다. 이 때 날 쪽은 ‘부리’라 하고 메로 치게 되는 반대쪽은 ‘정마리’라고 한다. 정은 작업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끌과 같이 생겨서 자루가 없는 것도 있고, 마치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錠 가루약을 뭉쳐 동글납작한 모양으로 만든 약제. | 내용 배합된 약물을 기계나 인공적으로 분쇄하여 곱게 가루로 만든 다음, 단독 혹은 여기에 몇 가지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형태를 만들고 바깥의 껍질을 별도로 빚어낸다. 이것은 내복할 수도 있고 외용으로도 쓸 수가 있다. 또, 분쇄하여 복용하기도 하고, 갈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鼎, ting 신석기시대(BC 3000경~1500경)에 처음 만들어진 중국의 용기. (병). ding. (웨). ting. | 원래 취사용 그릇으로 운두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 손잡이가 달려 있고 기둥 모양의 다리 3개가 받치고 있다. 역정(鬲鼎)과 방정의 2가지 유형이 있는데 역정은 각각의 발을 연결하는 조금 볼록한 용기가 달려 있으며, ... 다음백과 정 正 조선시대 종친부·돈녕부·훈련원과 정3품 무당상아문인 6원·9시·6감에 두었던 정3품 당상관직. | 종친부정은 왕세자의 중증손, 대군의 중손, 왕자군의 중자, 왕자군을 승습할 적장증손에게 처음 준 벼슬이었다. 1443년(세종 25) 12월에 종실의 직질이 상정되었다가 정·종의 구별이 어렵다고 1457년(세조 3) 7월에 다... 다음백과 정 程 성의 하나. | 문헌상 하남 외에 10여 본이 전하나 대부분 하남정씨의 분파 세거지로 알려져 있다. 원래 중국 성씨로 시조인 정우는 송나라 태종 때 태자소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의 18세손인 정사조가 원나라 순제 때 위위교승을 지내고 고려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우리나라에 와서 공민왕 때 추성보리공신 벽... 다음백과 정 대정(大正), 正 신라시대의 관직. | 내용 상사서(賞賜署)에 소속되었다. 일종의 상훈국(賞勳局)인 상사서는 처음 창부(倉部)와 대도서(大道署)의 장관직이다. 본래의 명칭은 대정(大正)으로 정원은 1인이며, 624년(진평왕 46)에 배치되었는데, 경덕왕이 정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금 대정으로 일컬었다. 급찬(級飡)에서 아찬(阿飡)까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 程 길, 도로, 도중. | 노정이란 뜻에서 법, 법도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과정(過程) : 지나는 길. 노정(路程) : 여행의 경로나 일정. 여정(旅程). 일정(日程) : 그날에 할 일 또는 그 분량이나 차례. 공정(工程) : 일이 진척되는 과정이나 정도. 예) 동북공정(東北工程). 우리 한자어 1000가지 더보기 20/1000 이전 검색어 입력폼 검색어를 입력 하세요. 검색어 삭제 검색 제안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