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재三災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질역재(疾疫災)·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화재(火災)·풍재(風災)가 있다. 사람에게 드는 삼재년(三災年) 또는 액년(厄年)은 해마다 누구에게나 드는 것이 아니다. 십이지(十二支)로 따져 들게 되는데, 사(巳)·유(酉)·축(丑)이 든 해에 태어난 사람은 해(亥)·자(子)·축(丑)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들고, 신(申)·자(子)·진(辰)이 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인(寅)·묘(卯)·진(辰)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들며, 해(亥)·묘(卯)·미(未)가 든 해에 출생한 사람은 사(巳)·오(午)·미(未)가 되는 해에 삼재가 들고, 인(寅)·오(午)·술(戌)이 든 해에 출생한 사람은 신(申)·유(酉)·술(戌)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든다. 따라서, 사람은 9년마다 주기적으로 삼재년을 맞이하게 되는데, 삼재운(三災運)이 든 첫해를 ‘들삼재’, 둘째 해를 ‘누울삼재’, 셋째 해를 ‘날삼재’라 한다. 가장 불길한 삼재년은 들삼재이고, 그 다음 불길한 삼재년은 누울삼재· -
다음백과 주기율표periodic table,週期律表
원소를 원자번호와 화학적 성질에 따라 배열한 표. 주기표(週期表)라고도 한다. 원소를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원소 간 유사성의 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미발견 원소의 가능성과 성질도 추정할 수 있도록 한 도표이다.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원자량 기반의 주기율표를 고안했고, 20세기 초 영국의 헨리 모즐리가 양성자 수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 달라짐을 발견, 주기율표에 반영하여 현대의 주기율표를 제안했다. 원소에 대한 여러 속성을 발견하는 가운데, 일정한 주기가 반복되는 현상이 독일의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 프랑스의 상쿠르투아 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다. 되베라이너는는 어떤 세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 리튬(3):소듐(11):포타슘(19), 칼슘(20):스트론튬(38):바륨(56)과 같이 첫번째와 세번째 원자량의 합을 반으로 나누면 가운데 원소의 원자량과 같거나 비슷해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3쌍의 원소"라고 불렀다. 상쿠르두아는 원소
-
질병백과 이석증Benign paroxysmal vertigo
이석증은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럼이 수초에서 1분 정도 지속되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증상으로, 원래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입니다. 이석증은 어지럼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여기서 양성이란 심각한 귓병이나 뇌 질환이 없는데도 어지럼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작성은 갑자기 증상이 발생했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일이 반복(발작성)되는 것을 말하고, 체위성은 증상으로 인해 체위(자세)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석증의 증상인 어지럼증은 귓속 깊은 곳의 반고리관이라는 구조물 내부에 이석이라는 물질이 흘러 다녀서 발생합니다. 반고리관은 사람이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알려줌으로써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관 모양이며, 내부에 액체가 있습니다. 이석은 반고리관 주변에 위치하여 균형 유지에 관여하는 물질입니다. 어떤 이유로든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내부의 액체 속에서 흘러 다니거나 붙어 있게 되면,
-
질병백과 신체형 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신체형 장애는 신체 질환처럼 보이는 정신 장애로, 환자가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지만 이에 합당한 검사 소견이 발견되지 않고, 기존의 신체 질환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설명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가 울렁거리고 소화가 안 되어서 병원에 방문해 여러 가지 검사를 했는데도 검사 결과상 아무런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에 신체형 장애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신체형 장애는 환자의 심리적 상태가 뇌 기능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신체 증상을 유발함으로써 발생합니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건강염려증, 신체 이형 장애, 통증 장애로 나누어집니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맞는 검사 소견, 신체 질환이 없다고 하여 환자가 꾀병을 부리는 것은 아닙니다. 환자는 실제 신체 질환과 동일한 신체 증상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환자가 느끼는 좌절과 절망을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부정적인 정서를 가진 사람은 외부적인 사건보다 자신의 내부에 더 주의를 기울입니다
인기 카테고리
추천백과
-
e약은요4,610건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 제공 :
-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
-
텃밭가꾸기33건
상추, 양파 등 익숙한 작물의 텃밭 재배법을 소개드립니다.
- 제공 :
- 농촌진흥청 텃밭가꾸기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의학백과100건
- 제공 :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경제금융용어 700선700건
- 제공 :
-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