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
질병백과 노로바이러스 장염Norovirus Gastroenteritis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기가 매우 작은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norovirus)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식중독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번식력이 떨어지지만, 노로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오히려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겨울철 식중독의 주된 원인입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식품이나 음료를 섭취하여 감염됩니다. 이 질병에 걸린 사람에게 옮기도 합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게 퍼지며, 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습니다. 나이와 상관없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겨울철 감염률이 높습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보통 24~48시간의 잠복기를 거치고 구토, 메스꺼움, 오한,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근육통, 권태, 두통, 발열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소아는 구토가 흔하고, 성인은 설사가 흔합니다. 설사의 경우 물처럼 묽지만 피가 섞이거나 점액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심한 경우 탈수 증상이나 심한 복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숙번李叔蕃
조선전기 좌군총제, 지승추부사, 지의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하였다. 1398년에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으면서 이방원(李芳遠: 뒤의 태종)을 도와 사병을 출동시켜,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졌으며, 우부승지에 임명되었다. 그 뒤 이방원의 측근이 되어 정종이 왕위에 오르자 이방원에게 “공을 왕으로 추대하고 싶을 뿐이다.”라고까지 말했다 한다. 1399년(정종 1) 좌부승지가 되고, 이듬 해 초 박포(朴苞)가 이방원과 반목하던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해 거병하자 군사를 동원해 이들을 제거하였다. 이어 좌군총제(左軍摠制)가 되고,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다. 1402년(태종 2) 새로 설치한 내갑사(內甲士)의 좌번(左番) 책임자가 되고 지승추부사(知承樞府事)가 되었다. 같은 해 말 안변부사 조사의(趙思義)가 반란 -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조선 3대왕, 태종의 가계도
-
다음백과 저항권right of resistance,抵抗權
기본권을 침해하는 국가의 공권력 행사에 저항하는 개인 또는 국민의 권리. 반항권이라고도 함.
개념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되어 있다. 그 하나는 오로지 실정법 이외의 질서를 근거로 하여 실정법상의 의무를 거부하는 저항행위를 문제로 하여 그것을 정당하다고 하는 주장을 가리켜 저항권이라고 한다. 이처럼 오로지 초실정법적·자연법적인 존재로서 저항권을 생각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실정법 속에 저항권을 규정해도 그것은 고작 정치적 의미를 가질 뿐이며, 법적으로는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만다. 이에 반해 하나의 실정법상의 헌법옹호의무를 근거로 하여 그 자체로서는 합법적으로 성립하고 있는 실정법상의 의무를 거부하는 저항행위를 문제로 하는 입장에서는 그와같은 저항의 권리는 실정법상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된다. 이와 같이 2가지의 '저항권'은 각각 다른 논리구조를 가지며, 별개의 문제가 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실정법상의 저항권이 헌법보장의 한 형태임에 반해 자연법상의 저항권은 실정법질서 그 자체를 변혁하는 혁명권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제 역사상에서도 저항권의 이름 아래 이들 2가지가 각각
인기 카테고리
추천백과
-
e약은요5,292건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 제공 :
-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
-
텃밭가꾸기33건
상추, 양파 등 익숙한 작물의 텃밭 재배법을 소개드립니다.
- 제공 :
- 농촌진흥청 텃밭가꾸기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의학백과100건
- 제공 :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식품 안전이슈 20가지20건
생활 속 식품 안전 이슈 20가지를 쉽게 알려드립니다.
- 제공 :
- 식약처 식품안전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