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오!!! 멋진 서울

타임스퀘어

영등포의 스타일 랜드 마크

소재지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4가 441-10 타임스퀘어
가는 법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지하연결로 이용. 간선버스 361, 462, 605, 660A, 661, 760, 8361(맞춤급행)번, 지선버스 5012, 5625, 5714, 6628, 6630, 6631, 6637, 6640, 7612번, 마을버스 영등포05번 타임스퀘어(신세계 백화점) 하차
사이트
http://www.timessquare.co.kr
이용 시간
오전 10시 30분~오후 10시(주말 30분 연장)
본문 이미지 타임스퀘어

타임스퀘어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커튼월의 유리 외관이 화려하게 빛난다. 타임스퀘어는 개장과 더불어 단숨에 영등포의 랜드 마크 자리를 꿰찼다. 특히 중심광장을 이루는 아트리움의 매혹은 여타의 복합쇼핑몰과 이곳을 차별 짓는다. 공간을 휘젓고 다니는 재미가 쏠쏠하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방에 몰링(malling)!

무려 30만 제곱미터다. 여의도공원의 1.4배다. 새로 생긴 공원 이야기가 아니다. (주)경방에서 세운 복합쇼핑몰의 면적이다. 지난 2009년 9월에 들어선 타임스퀘어가 영등포의 지형도를 바꿨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단순한 쇼핑몰의 등장과는 다른 이야기다. 문화·숙박시설 등과 연결되어 새로운 단지가 생겨났다.

각각의 공간은 구심점 역할을 하는 아트리움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오른쪽 전면부에는 코오롱 스포렉스다. 5층의 피트니스 센터가 있다. 뒤쪽으로는 15층이 넘는 두 동의 오피스 건물과 그 사이에 멀티플렉스 존이 있다. 교보문고와 CGV영화관·E마트 등이 있다. 특히 CGV영화관은 기네스북에서 인정한 세계 최대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아트리움 왼쪽 전면부의 16층 건물은 메리어트 호텔이다. 그 곁의 끝동에는 신세계 백화점이 자리한다. 기존의 경방필 백화점과 신세계 백화점이 합쳐졌다. 서울 서남부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다. 아트리움의 뒤쪽으로는 컨벤션센터 아모리스다. 이 모든 시설이 모여 타임스퀘어를 이룬다. 하나의 몸처럼 연결되어 있다. 한 장소에서 쇼핑과 여가 및 문화생활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몰링(malling)이다.

아트리움에 앞서서 야외 광장을 지난다. 광장의 거대한 조각 작품이 눈길을 끈다. 서도호의 「카르마(Karma)」다. 카르마는 ‘업(業)’이다. 사방으로 걸어가는 네 사람이다. 그들의 어깨에는 다시 목마를 탄 사람이다. 아래 사람의 눈을 가렸다. 수십 명의 사람이 목마에 목마를 태우고 공중의 한 점을 향한다. 사방에서 올라온 인간 군상은 허공에서 접점을 이루어 탑처럼 존재한다. 시간성(times)을 표현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달팽이 아트리움의 매혹

타임스퀘어가 영등포의 랜드 마크로 자리매김했다면 타임스퀘어의 상징은 단연 아트리움이다. 그 실내는 특유의 시원스런 개방감이 특징이다. 450평의 공간은 옥상까지 시원하게 뚫렸다. 6층의 천장마저 유리다. 하늘을 품고 자연광을 받아들인다. 코엑스몰이 단층의 너른 마을을 누비는 수평의 구조라면 타임스퀘어는 아트리움을 강조한 수직의 구조가 돋보인다.

각 층마다에는 띠를 두르듯 나선형의 난간이 지난다. 그 선의 움직임이 공간에 리듬을 부여한다. 시각적인 개방감은 기본이요 보는 즐거움도 안긴다. 그렇다고 각 층과 붙어 곧장 쇼핑 매장이 자리하지는 않는다. 1층과 2층 주변으로만 의류 매장이 들어섰을 뿐 대부분 문화시설이나 휴게시설이다. 넉넉한 쉼과 휴게의 개념이다. 타임스퀘어가 개장과 동시에 관심을 끈 가장 큰 이유다. 달팽이 모양의 아트리움이 가지고 있는 장점이다.

천장까지 열렸다지만 공간이 밋밋하지만도 않다. 3층과 4층에는 공중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두었다. 3층과 4층의 끝을 가로지르는 지름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공중을 걷는다는 사실이 은근한 스릴을 안긴다. 공간에 흥미로움이 더해진다. 다리에서는 입구 쪽 천장에 걸린 세 개의 커다란 공도 눈에 들어온다. 아트리움이 주는 시각의 강렬함에 가려졌던 작품이다. 윤동구의 「더 스카이 워터풀(The Sky Waterfall)」이다. 말 그대로 ‘공중폭포’다. 아트리움에 달린 거대한 추 같다.

아트리움의 1층 중앙에는 무대도 있다. 아트리움 광장은 타임스퀘어의 각 공간으로 이동하는 구심점이지만 문화 이벤트의 장이기도 하다. 무대에서는 주말마다 ‘웰메이드 세레나데’가 열린다. 유명 가수에서 인디밴드, 클래식, 팝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들이 공연을 펼친다. 이승환, 장기하와 얼굴들, 김C 등도 다녀갔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없어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공연이 있을 때는 2층부터 5층까지 아트리움 전체의 전경이 장관이다. 각 층의 난간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풍경이 모여든다. 마치 오페라 무대 같다. 문화의 놀이터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늘정원과 게스트로 펍

쇼핑을 하려면 아트리움 광장에서 신세계 백화점 쪽으로 가면 된다. 통로가 곧 매장이다. 각종 명품은 물론, 일반 쇼핑몰에서 볼 수 없는 브랜드도 많다. 쇼핑 그 자체의 콘텐츠로 손색이 없다. 풍성한 아이템이다. 쇼핑의 동선과 공간 배치도 갑갑하지 않고 여유롭다. 매장들이 좌우로 도열하거나 바둑판처럼 격자의 구획으로 나뉘지 않는다.

아트리움의 연장이다. 아트리움과 아케이드가 결합한 방식이다. 중앙은 지상에서 천장까지가 장방형의 빈 공간이다. 천장은 역시 유리 재질이다. 매장은 트랙을 돌 듯 둘레를 따라 자리한다. 유럽형 스트리트 몰이다. 양재동의 하이브랜드와 비슷한 구조다. 각 층의 난간에서 보면 지하층에서 천장까지 시야가 탁 트였다. 덕분에 쇼핑 알레르기가 있는 남자들도 종종 연인을 따라나선다. 3층과 4층에 걸쳐서는 이불의 작품 「Autopoesis」도 있다. 메탈과 비즈로 짠 조형물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생명체처럼 공중에 부유한다. 출입광장과 아트리움에서 이어지는 예술의 향취다.

쇼핑 후 마음 편히 쉬고 싶다면 아트리움 5층의 바깥 옥상으로 향한다. 곧장 이수경의 「달」과 마주한다. 조선 백자 달항아리의 파편을 달의 형태로 표현한 작품이다. 왼쪽의 계단을 따라서는 하늘정원(Sky Park)으로 향한다. 주변의 도시풍경을 보며 산책 삼아 거닐기에 좋은 너른 정원이다. 밤에는 조금 색다른 전경도 연출한다. 터널과 기둥 형식의 구조물이 야간 조명을 머금어 빛의 터널을 연출한다. 뜻밖의 분위기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이미지

ⓒ 웅진리빙하우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5층 옥상 출입구 안쪽의 CGV Pub Project도 타임스퀘어의 명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게스트로 펍(Pub)이다. 건강식 요리나 맥주와 함께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저녁 무렵 디제잉(DJing)과 인디밴드들의 공연이 열리는데 이름 있는 실력파 뮤지션들이 자주 무대에 선다. 다채로운 팝아트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추천할 만하다. 2층에는 교보문고가 있고 4층에는 액티온 전자게임장이 있다. 쇼핑 틈틈이 취향 따라 들를 만하다. 가족 단위라면 지하 2층의 키즈테마파크 ‘딸기가 좋아’를 권한다. 마치 도심 속 테마파크인 양하다.

관련 태그 #서울 #국내여행
콘텐츠 저작권 규정 오류 수정 문의
서울 가볼만한 곳 관련 주제 더보기 더보기
#서울 #국내여행 인기글

관련 멀티미디어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