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날개
이상(李箱)이 지은 단편소설.
- 시대
- 근대
- 저작자
- 이상
- 창작/발표시기
- 1936년
- 성격
- 단편소설
- 유형
- 작품
- 분야
- 문학/현대문학
1936년 9월 종합지인 『조광(朝光)』에 발표되었다. 「오감도(烏瞰圖)」(1934)·「지주회시(蜘鼄會豕)」(1936) 등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또는 심화된 리얼리즘이라는 평가로 바꾸게 한 작가의 대표적 작품이다.
한국 소설사의 전통에서 이상 문학의 비범성을 부각시키고 한국 소설의 전통시학에 변혁을 가져온, 문학사상 획기적인 작품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지식 청년인 ‘나’는 놀거나 밤낮없이 잠을 자면서 아내에게 사육된다. ‘나’는 몸이 건강하지 못하고 자아의식이 강하며 현실 감각이 없다. 오직 한 번 시행착오로 아내를 차지해본 이외에는 단 한 번도 ‘아내’의 남편이었던 적이 없다.
아내가 외출하고 난 뒤에 아내의 방에 가서 화장품 냄새를 맡거나 돋보기로 화장지를 태우면서 아내에 대한 욕구를 대신한다. 아내는 자신의 매음 행위에 거추장스러운 ‘나’를 ‘볕 안 드는 방’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수면제를 먹인다.
그 약이 감기약 아스피린인 줄 알고 지내던 ‘나’는 어느 날 그것이 수면제 아달린이라는 것을 알고 산으로 올라가 아내를 연구한다. ‘나’를 죽음으로 몰고 갔을지도 모를 수면제를 한꺼번에 여섯 개씩이나 먹고 일주야를 자고 깨어난다.
아내에 대한 의혹을 미안해하며 ‘나’는 아내에게 사죄하러 집으로 돌아왔다가 그만 아내의 매음 현장을 목도하고 만다. 도망쳐 나온 ‘나’는 쏘다니던 끝에 미스꼬시 옥상에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스물여섯 해의 과거를 회상한다.
이 때 정오의 사이렌이 울고 ‘나’는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번만 더 날자꾸나. 한번만 더 날아보자꾸나.”라고 외치고 싶어진다.
의의와 평가이 작품은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자기 소모적이고 자기 해체적인 모습을 그려, 사회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기법상의 방향전환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전 1920년대 1인칭소설에서 목격자나 실제 경험자의 보고, 고백이 외면적 표현이나 평면적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심층심리의 표현이나 입체적 구성의 시도 등의 실험정신을 통하여 내면화되어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현대소설사의 한 분기점이 된다.
구실이 뒤바뀐 부부 관계는 사육되는 남편의 모습을 통하여 일상으로부터 소외된 ‘나’의 가치가 전도된 삶을 은유한다.
일상 세계와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였던 아내와 단절된 상태에서 일상으로부터 차단된 자아분열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자기 구제를 꾀하려는 ‘나’의 역설적인 비상(飛上)은 이상의 실험적인 문학 정신을 바탕으로 형상화되었다.
특히, 식민지 사회의 병리를 개체적인 삶의 모순과 갈등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사회 현실을 외면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점에서도, 의식 및 심리의 내면화 현상은 1930년대 문학사에서 새롭게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이상』(김용직 편저, 지학사, 1985)
-
『한국시사연구』(박철희, 일조각, 1980)
-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
「자의식의 표백과 반어적의미」(이태동, 『문학사상』82, 19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산별곡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모두 8연으로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문이 실려 전하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곡조와 제1연이 실려 있다. 「서경별곡(西京別曲)」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와 함께 고려가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그리고 작가의 신분계층이나 제작 동기, 작품 성격, 작중 화자 등에 대해 이렇다 할 정설이 세워지지 않은 채 논란이 거듭되는 문제작이기도 하다. 남녀간의 애정을 주로 다루었던 다른 고려가요에 비해, 삶의 비애와 고뇌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청산별곡」의 사설 전문은 다음과 같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리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세계문학사전 100 데미안
열 살 소년 싱클레어가 20대 청년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로 친구 데미안과 만난 후 자신의 무의식과 내면을 일깨우는 과정이 철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1919년 헤르만 헤세는 중병에 걸린 젊은 작가의 출판 대리인으로 나서겠다며 원고 한 편을 출판사에 넘긴다. 주인공과 동명인 ‘에밀 싱클레어’란 작가가 쓴 이 책은 출판과 동시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책의 진짜 작가는 헤르만 헤세였다는 사실이 곧 알려졌는데, 헤세는 유명 작가의 낙인을 벗고 젊은 독자들에게 다가가고 싶어 가명으로 작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데미안》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상처받은 젊은이들의 마음에 큰 공감과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장소설 중 하나인 《데미안》은 성장의 과정이란 누구에게나 아프고 괴롭다는 것을 보편적으로 인식하게 만든 소설이다. 헤세의 소설 중 가장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융 심리학의 영향을 받은 심층 구조를 지니고 있다. 헤세는 자신이 정신분석을 받았을 때의 경험을 토대로 ‘진정한 자아의 표상’으로서 데미안을 창조했으며, 이 소설 자체가 데미안이 되어가는 싱클레어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금 -
영화는 쉬지 않는다 로리타
영화를 직접 보지 못한 사람도 '로리타'라는 어린 여주인공의 애칭을 언급하면 쉽게 알 것이다. 〈로리타〉는 원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1962년 스탠리 큐브릭이 각색해서 영화화했지만, 몇 년 전에 아드리안 라인이 리바이벌한 작품으로 그 스토리가 더 익숙해진 것 같다. 한 인텔리 중년 남자가 어린 소녀에게 매혹되어 사랑하다가 파멸해 가는 과정을 멜로드라마(블랙 코미디가 은연중에 가미된) 형식으로 그려나간 게 바로 〈로리타〉다. 내가 여기서 소개하는 작품은 스탠리 큐브릭의 흑백 영화 〈로리타〉다. 아드리안 라인의 컬러 영화 〈로리타〉(1997년)는 스토리는 비슷하지만 디테일이나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솔직히 나는 큐브릭 영화보다 아드리안 라인 영화를 먼저 봤다. 평소 〈로리타〉에 대한 대강의 이야기는 자료를 통해 알고 있었지만 책조차 본 적이 없었기에 무척 기대하고 영화를 비디오로 봤는데, 너무 상투적이고 실망스러운 연출에 참다못해
-
다음백과 스페인독감
1918년 발생한 역사상 가장 심했던 유행성인플루엔자.
유행성인플루엔자를 처음으로 정확히 서술한 것은 1601년이었다. 현대에 와서 가장 심하게 발생했던 경우는 1918년에 발생한 스페인독감으로 흑사병과 함께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몇 개월 사이에 2,000만 명가량이 죽었다. 인도에서만 1,250만 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되며, 미국에서는 55만 명가량이 죽었다. 첫 사례는 1918년 가을 서부전선에 주둔했던 미군부대로, 4만 4천 명이 희생됐다. 우리나라도 742만 명이 감염되어 14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페인독감이라는 명칭은 당시 1차세계대전에 참전하지 않았던 스페인의 방송과 신문의 보도로 인한 것이다. 전선의 참호에서 스페인 방송을 들은 군인들이 이 독감을 스페인독감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