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아리랑
나운규(羅雲奎) 시나리오·감독의 무성영화.
- 시대
- 근대
- 저작자
- 나운규
- 창작/발표시기
- 1926년
- 성격
- 영화
- 유형
- 작품
-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소장/전승
- 조선키네마프로덕션
나운규(羅雲奎) 시나리오·감독의 무성영화.
한국영화사상 가장 초창기에 제작된 명작으로 1926년 조선키네마프로덕션의 제2회작품으로 제작되었다. 나운규 감독의 데뷔작품이기도 하다.
당시의 우리 영화는 1919년에 김도산(金陶山)이 극단 신극좌(新劇座)에서 만든 연쇄극(連鎖劇)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 속에 약 1,000피트의 필름을 제작, 삽입함으로써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었다.
그 뒤 필름에 의한 완전한 영화가 만들어지기는 1923년 윤백남(尹白南)이 민중극단(民衆劇團)을 이끌고 제작한 <월하(月下)의 맹세(盟誓)>가 최초로서, 당시의 작품들은 대부분 외국영화의 번안모방물이거나 개화기신파물·통속사극물 등 그야말로 유치한 활동사진에 지나지 않았다.
서구의 문물이 밀물처럼 들어오던 개화기 한반도가 일제의 무력에 의해 식민지가 된 지 10여 년, 영화 <아리랑>은 이러한 역사적·사회적 배경 아래에서 제작되었다.
그리고 1926년 10월 1일, 당시 박승필(朴承弼)이 경영하던 단성사(團成社)에서 개봉된 <아리랑>은 그야말로 이 땅의 민중들에게 일대 충격을 안겨준 혁명적인 영화가 되었다. 그 이유는 이 작품이 당시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항일민족정신을 그 주제로 하였으며, 작품 또한 영화사상 초유의 예술성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와 함께 제1권이 시작되면 ‘개와 고양이’라는 자막에 이어서 변사의 해설이 시작된다. “……평화를 노래하고 있던 백성들이 오랜 세월에 쌓이고 쌓인 슬픔의 시를 읊으려고 합니다. ……서울에서 철학공부를 하다가 3·1운동의 충격으로 미쳐버렸다는 김영진(金永鎭)이라는 청년은……”
영화 속에서 광인(狂人) 영진(羅雲奎 扮)은 낫을 휘두르며 오기호(朱仁圭 扮)를 쫓아간다. 기호는 이 마을의 악덕지주 천가(千哥)의 머슴이며 왜경의 앞잡이이기도 하다. 영진은 온 마을사람이 송충이처럼 미워하는 기호를 이처럼 증오하며 왜경과 마주쳐도 찌를 듯이 낫을 휘두른다.
한편 영진에게는 영희(申一仙 扮)라는 여동생이 있으며, 그는 광인 특유의 사랑으로 영희를 아낀다. 어느 날 서울에서 영진의 대학동창생 윤현구(南宮雲 扮)가 그의 친구를 찾아 이 마을로 온다.
그러나 영진은 현구를 알아보지 못하고, 영희가 오빠를 대신하여 그를 맞이한다. 영진의 불행을 걱정하는 두 남녀 사이에 어느덧 순수한 애정이 싹튼다.
마침 마을에서 풍년의 농악제가 열린 날 고약한 머슴 기호가 마을을 기웃거리다가 혼자서 집안일을 하고 있는 영희를 보고 그녀를 범하려 든다. 이 때 현구가 돌아와 기호와 격투를 벌이게 된다. 영진도 이 자리에 있었지만 정신이상자인 그의 눈에는 두 남자의 격투가 마치 재미있는 장난처럼 보여 히죽히죽 웃기만 한다.
그러던 영진이 환상을 본다. 사막에 쓰러진 한 쌍의 연인이 지나가는 대상(隊商)에게 물을 달라고 애원한다. 그러자 상인은 물 한 모금 대신 여자를 끌어안는다. 그 순간 영진이 낫을 번쩍 들어 후려친다.
그 순간 대상은 사라지고, 영진의 낫에 찔려 쓰러진 것은 기호였다. 이 때 영진은 기호가 흘린 피를 바라보다 충격을 받으며 맑은 정신을 되찾는다.
이 자리에 영진의 아버지, 교장선생, 천가, 그리고 일본순경 등과 마을사람들이 모여든다. 어느새 영진의 손에는 포승이 묶여진다. 영진은 그를 바라보고 오열하는 마을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러분, 울지 마십시오. 이 몸이 삼천리강산에 태어났기에 미쳤고 사람을 죽였습니다. 지금 이곳을 떠나는, 떠나려는 이 영진은 죽음의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갱생의 길을 가는 것이오니 여러분 눈물을 거두어주십시오…….”이러한 변사의 해설과 함께 영진은 일본순경에 끌려가고, 주제가 <아리랑>이 남아 흐른다.
위의 작품줄거리에서 보듯이 주인공 영진은 3·1운동 때 잡혀서 일제의 고문으로 정신이상이 된 민족청년이다. 그리고 그가 미워하고 죽이게 되는 기호는 일제에 아부하는 반민족적인 인물이다. 정신이상자가 아니면 올바로 살 수 없었던 일제시대, 그리고 정신이상자이기 때문에 살인행위가 가능하였던 작품의 방법론이 놀랍다.
영화의 촬영도 당시로서는 드물게 우리 농촌의 생생한 현장을 사실적인 기법으로 묘사하여 한국 리얼리즘영화의 남상(濫觴:시작)을 이루었다. 또한, 작품 속에서 기호를 살해하게 되는 대상의 환상장면의 설정과 처리는 뛰어난 기법으로 크게 찬사를 받았다.
그렇지만 역시 이 작품의 가장 큰 감동은 작품 전체의 주제를 항일민족정신으로 높이고, 그것을 전통민요인 <아리랑>과 연결, 승화시킨 점이었다. 이로써 이 영화의 제목이자 주제가였던 민요 <아리랑>은 암담한 시대를 사는 온 겨레의 애국가요, 겨레의 가슴마다 민족혼을 불어넣는 노래로 전하여지게 되었다.
한편, 영화 <아리랑>은 개봉이 되자 전국의 극장에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 영화의 영향으로 이 땅의 영화 제작이 활발하여지는 한편, 당시의 조선영화계가 번안모방물이나 개화기신파물 제작을 저버리고 민족영화 제작으로 면목을 일신하게 하여 민족영화 창조의 전통을 쌓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
-
『한국영화측면비사』(안종화, 춘추각, 1962)
-
『한국영화전사』(이영일, 삼애사, 1969)
-
『한국영화발달사』(유현목, 한진출판사, 1980)
-
「아리랑을 만들 때」(나운규, 『조선영화』 일(一), 1936)
-
근현대 영화인사전 봉준호
한국의 영화감독인 봉준호는 1969년 대구 출생이며, 소설가 박태원의 외손자이다. 봉준호는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였다. 그는 유년기부터 만화와 영화에 관심이 많았지만, 이장호와 배창호 감독의 영화를 보고 자라면서 인문학과 사회학을 공부하고 난 뒤 영화를 공부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내렸다. 봉준호는 1996년 장현수, 강우석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 영화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에서 연출부와 시나리오 작가로 참여하면서 충무로에 입문했다. 이후 <모텔 선인장>(1997), <유령>(1999)등의 영화에서 시나리오 작업을 함께 하면서 2000년 <플란다스의 개>(2000)로 감독 데뷔를 하였다. <살인의 추억>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10차례에 걸쳐 일어난 화성연쇄살인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김광림이 쓴 연극 <날 보러 와요>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봉준호의 세 번째 작품인 <괴물>(2006)은 봉준호 감독이 3년간 한강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시나리오를 완성한 영화다. 봉준호의 영화는 추리극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진실은 현대 한국 사회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의 영화에서 인물들은 국가가 지켜주지 못한 것을 지키기 위해 해결사로 나선다. 그리고 그들의 해결과정을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한국 사회를 이야기하고 있다.
-
영화 속 UX 인사이드 아웃 속, 복잡한 감정
2015년 7월 남녀노소 모두에게 감동을 주고 공감을 끌어낸 영화 Inside Out이 개봉했다. 안팎을 뒤집는다는 제목의 뜻처럼 내적인 감정들이 각각 의인화되어 사람의 인생을 그려가는 영화이다. 영화에는 다섯 가지 감정이 의인화되어 주인공인 ‘라일리’의 삶을 함께 그려간다. 다섯 가지 감정은 기쁨(Joy), 슬픔(Sadness), 까칠(Disgust), 소심(Fear), 그리고 버럭(Anger)이다. 각 감정이 돌아가면서 다양한 상황에서 주인공의 삶을 조종하는데, 라일리의 경우 기쁨이 중심이 되어 라일리의 삶을 디자인한다. 주변환경과 당시의 감정을 통해서 라일리는 자신만의 성격을 갖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감정이 반영된 기억들이 핵심기억 및 장기기억, 단기기억 등으로 저장된다. 이렇듯 애니메이션 Inside Out은 감정과 기억, 성격 외에도 사람의 수면과 꿈, 생각, 상상, 잠재 의식 등, 다양한 심리학적 요소와 UX 요소를 재미있고 알기 쉽게 보여주는 영화이다. 사람이 느끼는
-
세계문학사전 100 데미안
열 살 소년 싱클레어가 20대 청년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로 친구 데미안과 만난 후 자신의 무의식과 내면을 일깨우는 과정이 철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1919년 헤르만 헤세는 중병에 걸린 젊은 작가의 출판 대리인으로 나서겠다며 원고 한 편을 출판사에 넘긴다. 주인공과 동명인 ‘에밀 싱클레어’란 작가가 쓴 이 책은 출판과 동시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책의 진짜 작가는 헤르만 헤세였다는 사실이 곧 알려졌는데, 헤세는 유명 작가의 낙인을 벗고 젊은 독자들에게 다가가고 싶어 가명으로 작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데미안》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상처받은 젊은이들의 마음에 큰 공감과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장소설 중 하나인 《데미안》은 성장의 과정이란 누구에게나 아프고 괴롭다는 것을 보편적으로 인식하게 만든 소설이다. 헤세의 소설 중 가장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융 심리학의 영향을 받은 심층 구조를 지니고 있다. 헤세는 자신이 정신분석을 받았을 때의 경험을 토대로 ‘진정한 자아의 표상’으로서 데미안을 창조했으며, 이 소설 자체가 데미안이 되어가는 싱클레어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금 -
근현대 영화인사전 그레이스 켈리
아름다운 미모의 그레이스 켈리는 히치콕 감독의 <이창>(Rear Window)에서 빼어난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녀는 <갈채>(The Country Girl)와 <상류사회>(High Society)에서 호연으로 찬사를 받았으나 곧 은퇴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