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진료과백과
신경과
Neurology
정의
뇌와, 척수,여기서 갈라져나오는 신경가지(말초신경) 및 근육에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내과적으로 치료하는 과입니다.
관련 질병 90건
-
뇌종양
감각 이상, 구토, 뇌전증 발작 , 두통, 오심, 운동장애..
-
자발성 두개강 내 출혈
고혈압, 구토, 두통, 어지러움, 의식 변화, 편마비..
-
뇌졸중
두통, 반신마비, 발음 이상, 복시, 삼키기 곤란 , 시력 감소, 시야장애, 어지러움, 언어장애, 운동장애..
-
뇌전증
경련, 뇌전증 발작 , 눈꺼풀의 떨림, 손떨림, 온몸이 떨림, 의식 저하..
-
외상에 의한 뇌 손상
감각 과민, 경련, 구토, 기억장애, 두통, 어지러움, 오심, 의식 변화, 피로감, 혼수..
-
섬유근육통
근육통, 목의 통증, 변비, 복부 불편감, 복부 통증, 설사, 수면장애, 어깨의 통증, 요통, 저림, 전신 통증, 편두통, 피로감..
관련 태그
#진료과
#진료과
인기글
-
다음백과 포괄간호서비스
입원한 환자의 간병을 간호 인력이 맡아 수행하는 종합 간호 서비스
포괄간호서비스란 입원한 환자에게 간병인이나 보호자 대신 간호 인력이 종합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포괄간호서비스는 간호사가 24시간 간호 서비스를 전담하고 간호조무사가 보조 임무를 수행한다. 원칙적으로 보호자의 간병은 금지되며,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일시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입원한 환자의 간병 부담으로 인해 포괄간호서비스가 등장했다. 가족이 간병할 경우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기 어렵고 전문 간병인을 고용할 경우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포괄간호서비스는 환자의 간병 비용 부담을 줄이고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통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5년 기준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이 운영 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6년부터 포괄간호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며 2017년에는 지방 공공병원, 2018년에는 수도권과 대형병원까지 단계별로 확대할 방침이라 밝혔다. -
진료과백과 심장내과
심혈관계질환의 일종일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심장판막질환,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증, 심장이식, 고지혈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입니다.
-
진료과백과 외과
건강에 이상이 생긴 환자들에게 내과적 약물 요법이 아닌 수술을 통하여 외상, 염증, 종양 등을 치료하는 진료과입니다.
-
진료과백과 정형외과
근골격계(사지, 척추, 그리고 그 부속기)의 형태와 기능을 내과적, 외과적, 그리고 물리학적 방법으로 치료하는 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