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갈색날개매미충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노린재목 곤충. 한국에서는 2010년 처음 발견되었다. 나무나 풀의 줄기에 붙어 수액을 빨아 먹으며 1년생 어린 나뭇가지에 산란하여 피해를 준다.
- 분류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노린재목 > 큰날개매미충과
- 먹이
- 잎과 어린 가지, 과실의 수액
- 크기
- 약 8mm
- 분포지역
- 동남아시아 등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노린재목 곤충이다. 한국에서는 2010년 충남 공주와 예산, 전북 순창과 김제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1년 전남 구례군의 농장에서 대량 발생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나무의 수액을 빨아 먹으며 과수원과 산림에 피해를 준다. 한국에서는 갈색날개매미충을 ‘돌발외래해충’으로 분류한다. 돌발외래해충이란 갑자기 개체 수가 늘어나 피해가 심해진 외래 해충을 이르는 말이다.
형태성충의 몸길이는 8mm이며 날개 길이는 약 15mm이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띠며 날개 중앙에는 물결 모양의 무늬가 있다. 알에서 나온 약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다.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은 흰색의 밀랍 물질을 달고 있는데 자라면서 점점 늘어난다. 노란색을 띠는 흰색 밀랍 물질 덕분에 전체적으로 희끗희끗해 보이며 나무나 풀 줄기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생태갈색날개매미충은 1년에 한 번 발생한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낸 뒤 5월경 부화해 일정 기간 약충 상태로 지낸다. 약충은 식물의 어린줄기에 붙어 수액을 빨아 먹으며 줄기에 붙어있기 위해 흰색의 밀랍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는 과일이나 잎, 줄기 등에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약충 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먹으며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 7월 중순 무렵 성충이 된 갈색날개매미충은 8월 중순부터 나뭇가지 속에 산란한다. 주로 1년생 어린 나뭇가지에 산란하며 그로 인해 나무의 생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
과수류부터 농작물, 풀, 활엽수 등 먹이로 사용하는 기주식물이 매우 다양하다. 그만큼 서식지도 폭넓어 야산이나 과수원, 농경지는 물론 주거지에 서식하는 사례도 있다. 대체로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서식지가 넓어 방제가 어려운 편에 속한다.
피해와 방제 피해양상농작물이나 과일나무 등의 수액을 먹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 약충이 내뿜은 분비물이 과일이나 잎, 가지 등에 남아 그을음병을 일으키는 등 과일의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흡즙으로 인해 나무의 생장이 저하되어 열매의 수량이 적어질 수 있다.
특히 1년생 어린 가지 속에 알을 산란하는 갈색날개매미충의 습성이 문제가 된다. 알이 커지면서 무게를 이기지 못해 가지가 부러지거나 가지 내부에서 수분 등의 이동을 막아 과일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식물에 따라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이나 약충이 수액을 흡즙해서 일어난 피해보다 알의 산란으로 인한 피해가 큰 사례도 있다.
2016년에는 갈색날개매미충이 전국적으로 대량 발생해 문제가 되었다. 농촌진흥청은 갈색날개매미충이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적은 강수량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8월 농림축산식품부는 급격히 증가한 돌발외래해충으로 인해 전국 동시 방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방제 대상에는 갈색날개매미충은 물론 미국선녀벌레와 꽃매미 등이 포함되었다.
방제8월 중순부터 5월 이전까지는 알을 산란한 나뭇가지를 제거하거나 밀폐하여 방제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지 겉면이 아닌 조직 속에 산란하므로 해당 부위를 제거하지 않으면 방제가 어렵다. 성충이 나타나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산란을 막기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다. 노란색 끈끈이 트랩은 약 3m 간격으로 설치하며 높이는 1~1.5m 정도가 적합하다. 노란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특히 8월 말 이후부터는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이 산에서 과수원으로 유입되는 사례가 많아 철저하게 방제해야 한다.
화학적 방제는 알에서 약충이 부화하는 5월~6월 무렵이 가장 효과적이다.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일수록 약제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친환경 살충제로 고삼, 데리스(Derris), 님(Neem), 제충국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사용할 때는 1,000배 정도 희석하여 사용한다.
-
농촌진흥청 보도자료, 돌발해충 협업방제로 피해 최소화, 2016.07.27, http://goo.gl/O6Gyss
-
농촌진흥청 농촌진흥방송, 갈색날개매미충 방제, 2016, http://goo.gl/QhLGGm
-
농촌진흥청 농사로, 작목기술정보: 깍지벌레∙갈색날개매미충, 2014.09.18, http://goo.gl/udywPq
-
다음백과 붉은불개미
남아메리카 원산의 개미종. 식물에 큰 피해를 주고 사람이나 동물을 공격해 해충으로 여겨진다. 일개미는 독침을 가지고 있어 쏘이면 발진과 통증을 일으키며, 심할 경우 과민성 쇼크가 나타날 수 있다.
-
다음백과 빈대
노린재목 빈대과(―科 Cimicidae)에 속하는 약 75종(種)의 야행성 곤충.
사람을 비롯한 온혈동물의 피를 빨아먹고 산다. 적갈색인 성충은 몸이 넓고 편평하며 몸길이는 4~5㎜이다. 극도로 위축되어 흔적뿐인 비늘 모양의 날개는 눈에 띄지 않으며 아무 기능도 없다. 빈대의 독특한 기름냄새는 냄새선(stink gland : 발향선이라고도 함)의 분비물 때문이다. 암컷은 단일생식 기간에 평균 20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 1년에 3세대 이상을 거친다. 빈대는 인간에 기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외부 기생충으로서, 인가라면 어떤 곳에서나 서식한다. 낮에는 숨고 밤에는 먹이를 찾아다니다가 다시 숨어지내는 곳으로 돌아가서 여러 날 동안 먹이를 소화시킨다. 성충은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최소한 2년을 견딜 수 있으며, 사람을 물어 성가시게 하지만 사람에게 질병을 옮기지는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온대지방에 서식하는 키멕스 렉툴라리우스(Cimex lectularius : 이 한 종도 역시 '빈대'라는 일반명을 갖고 있음)와 열대지방에 흔한 반날개빈대(C. hemipterus)는 다 -
다음백과 사슴벌레류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900여 종의 곤충들. 중국 북부, 아무르, 일본에 분포한다. 대개의 사슴벌레는 썩은 통나무 주위에 서식하며 수액을 섭취한다. 몸은 흑색이나 갈색을 띠며 억세게 생겼고 밤에는 불빛에 유인된다. 수컷의 아래턱이 크게 발달하였고 사슴의 뿔처럼 생겼다. 가지와 이빨이 나있는 아래턱으로 사람이 꽉 물리면 피가 나올 정도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는 아래턱이 너무 커서 이 곤충에게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최근 종보호 차원에서 국외 반출이 금지되었다.
-
갯벌에서 심해까지 쏙
전체적으로 회갈색 또는 짙은 황갈색을 나타내는 몸통은 길이가 10cm 정도이며, 머리~가슴부분은 좌 · 우로 납작하지만, 배~꼬리부분은 위 · 아래로 납작한 형태이다. 펄과 작은 자갈이 약간 섞인 비교적 단단한 모래-펄바닥에 ‘U-자’형의 굴을 파고 그 속에서 살아간다. 꼬리부분을 움직여 굴속으로 바닷물을 끌어 들인 후 물속의 미세한 찌꺼기들과 플랑크톤을 걸러먹는다. 바닷가 어민들은 된장과 깃털 달린 막대기를 이용하여 이들을 포획한 후, 낚시 미끼 또는 먹거리로 이용한다. 우리바다의 남해와 서해 연안에 주로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