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화천공사
貨泉公社〈별들의 고향〉(1974), 〈바보들의 행진〉(1975), 〈겨울여자〉(1977) 등 1970년대 한국 영화사를 빛냈던 영화를 배출한 영화사. 화천공사는 다른 영화사들과는 달리 무역 회사에서 출발했다. 1858년 영화 제작업으로 등록했고 1960년대부터 한국 영화 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화천공사는 일본의 도호나 헤럴드 등을 통해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영화를 수입하는 데 탁견을 보였는데 마카로니 웨스턴 〈황야의 은화 1불〉과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는 한국에서 지은 제목을 일본에 역수출하기도 했다.
외화 수입에 치중했던 화천공사가 침체의 늪에 빠져 있던 한국 영화계에 기폭제를 터뜨린 것은 〈별들의 고향〉부터이다. 스물아홉의 이장호를 전격 기용해 만든 최인호 원작의 〈별들의 고향〉은 서울 국도극장에서 개봉해 102일 동안 46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 1973년 당시 한국 영화 편당 평균 관객이 1만8천 명이고, 충무로에 '영화계불황대책위원회'가 세워졌을 때이니 〈별들의 고향〉의 인기가 얼마나 폭발적이었는지는 가늠하기 어렵지 않다.
이후 화천공사는 이장호 감독과 〈어둠의 자식들〉(1981), 〈낮은 데로 임하소서〉(1982), 〈과부춤〉(1983), 〈바보선언〉(1983) 등을 만들었으며 김호선, 하길종 등 70년대 한국 영화의 세대 교체를 선언한 '영상시대' 감독과도 꾸준히 작업했다. 하길종 감독과는 〈바보들의 행진〉(1975), 〈속 별들의 고향〉(1978), 〈병태와 영자〉(1979) 등을 제작했으며, 김호선 감독과는 〈겨울여자〉(1977), 〈겨울여자 2〉(1982)를 만들었다.
화천공사는 이장호, 하길종, 김호선 등 일군의 신인 감독들에게 청년 문화의 새로운 감성에 부응할 영화를 꽃피울 터전을 만들어주었을 뿐 아니라 당시 영화를 잘 만드는 중견 감독에 불과했던 임권택에게 작가적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주기도 했다. 임권택 감독은 화천공사에서 〈상록수〉(1978), 〈족보〉(1978), 〈깃발 없는 기수〉(1979), 〈안개마을〉(1981), 〈만다라〉(1981), 〈오염된 자식들〉(1982) 등을 만들었는데 이중 〈만다라〉는 임권택 영화 중 미학적으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기도 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화천공사의 활기는 급격히 약화됐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한 하길종 감독의 〈땡볕〉(1985)이나 노동 문제를 다룬 박종원 감독의 〈구로아리랑〉(1989)같이 문제작을 내놓으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팁〉(1986), 〈매춘 3〉(1993)처럼 시류에 편승하는 성애 영화를 드문드문 내놓다가 현재는 영화 제작을 사실상 중단하고 극장업에만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천공사는 2002년 1월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7개관 1,674석 규모의 멀티플렉스 씨네시티를 개관했다.
-
근현대 영화인사전 그레이스 켈리
아름다운 미모의 그레이스 켈리는 히치콕 감독의 <이창>(Rear Window)에서 빼어난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녀는 <갈채>(The Country Girl)와 <상류사회>(High Society)에서 호연으로 찬사를 받았으나 곧 은퇴를 했다.
-
무인도에 떨어져도 음악 〈사운드 오브 뮤직〉 OST
누구에게나 듣기만 하면 주체할 수 없는 향수가 밀려오는 노래가 있다. 첫사랑에 빠졌을 때 들었던 유행가, 어릴 적 엄마가 잠들기 전에 불러 주시던 노래자락, 학창 시절 수없이 듣고 부른 팝송이나 가요, 인상 깊게 본 영화의 삽입곡 등……. 이런 음악은 이미 음악적 객관성을 상실한 채 개개인의 머리가 아닌 가슴에 저장되기 때문에 싫든 좋든 평생 그 사람을 따라다닌다. 내게도 그런 음악이 몇 개 있는데, 그중 하나가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에서 줄리 앤드류스(Julie Andrews)가 부른 〈My Favorite Things〉다. 걸음마를 하던 무렵부터 아버지가 이 LP 음반을 자주 틀어놓으셨기 때문이기도 하고, 유년시절 하도 마르고 닳도록 불러서 잊으려 해도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세뇌효과이기도 하다. 이른바 '명절 명화'라 불리는 〈벤허〉, 〈사운드 오브 뮤직〉, 〈스타워즈〉 유의 영화들. 이런 대작과 명작들은 영화에 대한 호불호가 결정되기도 전
-
다음백과 아카데미상
매년 봄 시상되는 미국의 영화상. '오스카상'이라고도 한다. 1927년 창설된 후 1934년부터 매년 봄에 수여되고 있다. 전년도에 개봉된 영화를 대상으로 미국의 영화 관련 인사들의 투표를 통해 후보작과 수상작이 선정된다.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등 24개 부문에 걸쳐 시상한다. 2025년 제97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는 션 베이커 감독의 <아노라>가 작품상·여우주연상·감독상·각본상·편집상을 수상하여 5관왕이 되었다.
-
영화는 쉬지 않는다 로리타
영화를 직접 보지 못한 사람도 '로리타'라는 어린 여주인공의 애칭을 언급하면 쉽게 알 것이다. 〈로리타〉는 원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1962년 스탠리 큐브릭이 각색해서 영화화했지만, 몇 년 전에 아드리안 라인이 리바이벌한 작품으로 그 스토리가 더 익숙해진 것 같다. 한 인텔리 중년 남자가 어린 소녀에게 매혹되어 사랑하다가 파멸해 가는 과정을 멜로드라마(블랙 코미디가 은연중에 가미된) 형식으로 그려나간 게 바로 〈로리타〉다. 내가 여기서 소개하는 작품은 스탠리 큐브릭의 흑백 영화 〈로리타〉다. 아드리안 라인의 컬러 영화 〈로리타〉(1997년)는 스토리는 비슷하지만 디테일이나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솔직히 나는 큐브릭 영화보다 아드리안 라인 영화를 먼저 봤다. 평소 〈로리타〉에 대한 대강의 이야기는 자료를 통해 알고 있었지만 책조차 본 적이 없었기에 무척 기대하고 영화를 비디오로 봤는데, 너무 상투적이고 실망스러운 연출에 참다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