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교외선
郊外線경기도 고양시 대곡역과 의정부시 의정부역간을 잇는 철도 노선. 1963년 서울역에서 출발해 서울 교외 지역을 순환하여 다시 서울역으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인 교외선 열차가 운행되었다. 교외선은 주로 서울 북부 경기도 지역인 벽제·일영·장흥·송추 등의 유원지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이용했으나, 2000년 이후 도로교통의 발달에 따라 승객이 격감하면서 2008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다. 이후 군용열차와 화물열차가 비정기적으로 운행했으며, 2025년 1월 대곡역과 의정부역 사이의 여객 운송이 재개되었다.
서울 인근인 경기도 고양시 대곡역에서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서울 교외를 운행한다는 뜻에서 '교외선'이라고 명명되었다.
교외선은 개통 당시부터 서울 북부 교외 지역의 여객 운송이 주 목적이었던 대표적인 순환철도였다. 교외선은 1959년 착공하여 1961년 7월 10일에 능곡-가릉 간, 1963년 8월 20일에 가릉-의정부 간이 연결되면서 31.8km의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본래 능곡역과 의정부역의 이름 첫글자를 따서 능의선(陵議線)이라 불렀으나, 1963년 '서울교외선'이라 개칭했고, 약칭으로 '교외선'이라고도 불렸다.
초기 노선은 서울 서부역을 출발하여 경의선의 신촌역·수색역을 거쳐 능곡에서부터 교외선으로 분기했다. 대곡-대정-원릉-삼릉-벽제-일영-장흥-온릉-송추를 거쳐 경원선 의정부역으로 연결되었으며, 의정부역에서 경원선의 성북역·청량리역을 거쳐 용산에서부터는 경부선 철도를 이용하여 서부역으로 회귀하는 노선으로, 벽제·일영·장흥·송추 등 서울에 인접한 경기도 지역 유원지로 향하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주로 이용했다.
1974년에 용산역-성북역 간에 전철이 운행되면서 용산역-서부역 구간이 없어지고 운행구간이 서울역-성북역 간으로 줄어들었다. 인근을 지나는 국도가 확장되고,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교외선 열차의 이용객이 격감하기 시작했다. 1994년 8월에는 관광철도노선의 특성을 살려 증기기관차를 동력차로 사용한 관광열차의 운행을 시작했으나 2000년 5월 운행을 중단했고, 2004년 4월부터는 교외선을 운행하던 통일호 열차의 운행을 중단하면서 여객 운송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4년 10월부터 저녁 시간에 한해 서울야경 순환열차 운행을 시작했으나 2008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용산역까지 연장되면서, 순환열차의 운행도 중단되었다. 이후 군용열차나 화물열차가 간헐적로 운행하고 있으며, 전철 노선의 연장 등 이 노선의 개량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 철도
현황교외선 노선 구간 지역주민의 교통 편의를 위한 교외선 열차 운행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국비 497억원과 지방비 52억원 등 549억원을 투입해 노선과 역사를 재정비한 끝에 2025년 1월 11일부터 교외선 열차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열차 운행 구간은 고양시 대곡역에서 의정부시 의정부역간 30.5km이며, 대곡-원릉-일영-장흥-송추-의정부 등 6개역이 여객취급을 시작했다. 이중 송추·장흥·원릉 등 3개 역은 무인 역사로 설치되었다.
-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광릉
주엽산 자락에 있는 광릉은 제7대 세조(1417~1468)와 정희왕후(1418~1483)의 능으로 면적만 무려 249만 4,800제곱미터에 달한다. 풍수가들은 광릉을 쌍룡농주형(雙龍弄珠形, 두 마리 용이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 형상)이라고 한다. 자리가 좋아서 이후 400여 년간 세조의 후손이 조선을 통치했다는 설명도 있다. 광릉 숲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는데 식물 865종, 곤충 3,925종, 조류 175종 등 모두 5,710종의 생물이 산다. 여기엔 흰진달래 등 특산 식물과 장수하늘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위 면적당 식물 종 수는 헥타르당 38.6종으로 설악산 3.2종, 북한산 8.9종을 크게 웃돈다. 곤충도 175.2종으로 설악산 4.2종, 주왕산 12.3종보다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만 사는 크낙새(천연기념물 제11호)도 이곳에 있다. 이처럼 생물이 풍부한 이유는 무엇보다 인간 활동이 집중되는 온대 중부 지역에서 이례적으로 장기간 숲이 보전되었기 때문이
-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융건릉
조선 왕릉의 마지막 행선지는 사적 제206호인 융건릉이다. 제22대 정조의 아버지 장조(사도세자)와 현경왕후를 모신 융릉, 정조와 효의왕후를 모신 건릉을 합쳐 부르는 이름이다. 건릉은 10세 때 아버지의 죽음을 목격한 아들의 무덤이고, 융릉은 아버지에게 죽임을 당한 아들의 무덤이다.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하기까지의 정황은 다소 복잡하다. 경종은 후사가 없는 데다 신병이 많아 후계자가 혼미에 빠져 있었다. 이때 노론의 4인방으로 불리는 김창집, 이건명, 이이명, 조태채 등의 주장에 따라 영조가 세제로 책봉된다. 그러자 소론 측에서는 시기상조론을 들고 일어나 노론의 4대신을 4흉(四兇)으로 몰아 처형했다. 이것이 잘 알려진 신임사화다. 생명의 위협 속에서 겨우 헤어난 영조는 왕위에 올라 자신을 왕으로 만들었던 노론의 의리를 정당화하고 소론을 쫓아냈다. 이것이 신임의리다. 정치적 평정을 이루려고 탕평책을 쓰기도 했지만 영조는 노론의 편이 아닐 수 없었다. 문제는 당대의 정황을 예의 주시한
-
다음백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서울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역급행철도. 지하 40~50m의 대심도 공간을 활용하여 토지 보상비를 줄이고, 노선을 직선화하여 평균속도를 시속 100km으로 높여서 운행한다. 운정-동탄(A노선), 마석-송도(B노선), 덕정-수원, 상록수(C노선), 인천-팔당(D노선), 검암-덕소(E노선), 서울외곽순환(F노선)의 6개 노선을 계획·r건설 중이다. A노선은 2018년 12월 27일 착공식을 가졌으며, 2024년 3월 30일 A노선 가운데 수서-동탄 구간이 완공되어 운행이 시작되었고, 12월 28일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 축령산
축령산은 남양주시와 가평군 경계에 있는 높이 879m의 산이다. 축령산은 광주산맥이 가평군에 이르러 명지산과 운악산을 솟구치며 내려오다가 한강을 앞에 두고 형성된 암반이다. 조선왕조를 개국한 태조 이성계가 고려말에 사냥을 왔다가 사냥감을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는데 몰이꾼의 말이 〔이 산은 신령스러운 산이라 산신제를 지내야 한다〕고 하여 산 정상에 올라 제사를 지낸 후 멧돼지를 잡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때부터 고사를 올린 산이라 하여 〔축령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축령산 서쪽 기슭에는 축령산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다. 60년생 잣나무 숲이 울창하고, 물놀이장, 자연관찰원, 잔디광장, 철쭉동산 등이 조성되어 있다. 축령산의 동쪽 기슭(가평군)에는 아침고요수목원이 있다. 축령산 등산 코스로는 축령산 제1주차장-수리바위-남이 바위-축령산 정상-절고개-임도 삼거리-제1주차장으로 다시 돌아오는 코스와 축령산 정상에서 서리산 방향으로 가다가 중간에 제1 주차장 방향으로 내려오는 코스도 있다.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