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레이
Nicholas RayRaymond Nicholas Kienzle
미국의 영화 작가·감독.
본명은 Raymond Nicholas Kienzle.
- 출생
- 1911. 8. 7, 미국 위스콘신 라크로스
- 사망
- 1979. 6. 16, 뉴욕
- 국적
- 미국
〈밤의 사나이들 They Live by Night〉(1948~49)·〈Knock on any Door〉(1949)·〈조니 기타 Johnny Guitar〉(1954) 같은 초기의 비용이 적게 든 영화에서 촉망받는 감독으로서의 커다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건축을 공부했고 라디오 대본을 썼으며 영화에 몸담기 전에 연극무대에서 연기와 연출을 했다. 미국영화가 사회부패 문제를 다루던 시기에 레이는 할리우드 사회에 대한 논평을 담은 인기작 〈고독한 영혼 In a Lonely Place〉(1950)와, 중산층에 속한 청소년의 범죄를 다룬 〈이유없는 반항 Rebel Without a Cause〉(1955)을 감독했다. 〈이유없는 반항〉은 제임스 딘이 주연을 맡았는데, 부모의 무관심 속에 버려진 10대 소년을 연민어린 시선으로 묘사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레이는 이 영화에서 청소년 범죄가 빈민계층만이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라는 점을 밝혔으며, 이 영화는 같은 해에 나온 리처드 브룩스의 〈흑판의 정글 Blackboard Jungle〉과 더불어 최고의 문제작으로 꼽혔다. 레이가 마지막으로 감독한 할리우드 영화는 〈북경의 55일 55 Days at Peking〉(1963)인데 이 영화는 의화단 사건을 다룬 정치성 소재의 작품이었다.
그뒤 레이는 유고슬라비아에서 감독으로 활동했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영화를 가르쳤으며 수년간 〈우리 다시는 고향에 못가리 We Can't Go Home Again〉라는 영화제작에 몰두했다. 또한 빔 벤더스의 〈미국인 친구 The American Friend〉(1977)와 밀로스 포먼의 〈머리카락 Hair〉(1979)에 출연하기도 했다.
장편기록영화 〈여기서는 나도 이방인 I'm A Stranger Here Myself〉(1974)은 그를 주제로 한 영화였으며, 벤더스와 함께 자신의 말년과 죽음을 다룬 반기록영화 〈물 위의 번개 Lightning over Water〉(1980)를 제작하기도 했다. 레이는 소설가이며 도덕주의자인 알베르 카뮈에게서 인간성에 대한 비관적 견해를 배웠으며,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에게서 빛과 색채, 구성을 배웠다고 한다.
-
다음백과 마키아벨리
역저 〈군주론〉은 목적만 정당하다면 수단은 아무래도 상관이 없다는 비윤리적 견유주의를 제창한 것으로 인식되어 오랫동안 비난을 받아왔으나 정·교 분리의 주장과 함께 권력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행해지고 있는 점에서 근대 정치학의 초석으로 평가되고 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29세의 나이로 제2서기관직에 올라 정치에 입문했고, 이후 정치에 대한 자신의 열정을 불태웠다. 그가 필요 이상으로 사악하게 비쳐진 이유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충격을 주고자 했던 그의 의도 때문이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부터 역사순환론을 이끌어낸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인간에 대한 인식을 정치학의 토대로 정립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했다.
-
에듀윌 시사상식 김은숙
김은숙은 시나리오 작가다. 2003년 데뷔 이후 SBS에서 ‘파리의 연인’, ‘시크릿 가든’ 등 주로 로맨틱 코미디물을 집필했다. 2015년부터 SBS를 떠나 KBS2 ‘태양의 후예’에 이어 tvN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을 연속으로 히트시키며 자타공인 ‘히트작 메이커 작가’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
문학사를 움직인 100인 버지니아 울프
의식의 흐름 기법을 시도한 작가로 철저한 남성 중심 사회였던 빅토리아 시대에 당당히 문학가로서 명성을 떨쳤다.
버지니아 울프는 영국의 소설가로, 페미니즘과 모더니즘의 선구자로 꼽힌다. 그녀는 여성의 교육 및 사회 진출이 제한되던 빅토리아 시대에 남성 중심의 문명사회를 비판하고, 사회적, 경제적, 자아의 측면에서 여성의 독립을 주장했다. 또한 '의식의 흐름' 기법을 탄생시키고 완성한 작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또한 버지니아 울프의 페미니즘적 메시지는 물론, 그녀의 명성 그 자체로 말미암아 여성의 지위에 대한, 특히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지위가 새로이 조명되게 되었다. 버지니아 울프의 본명은 아델린 버지니아 스티븐이며, 1882년 1월 25일 영국 런던의 하이드 파크 게이트 22번지에서 레슬리 스티븐과 줄리아 덕워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레슬리 스티븐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저명한 문예 비평가로 《영국 인명사전》 및 잡지 〈콘힐〉의 편집장을 지냈다. 레슬리와 줄리아는 둘 다 재혼이었는데, 재혼할 당시 각자의 자녀들을 둔 상태였고, 두 사람 사이에서 자녀들이 태어나면서 10여 명의 대가 -
다음백과 도스토예프스키
러시아의 소설가·언론인. Dostoevsky라고도 씀.
인간 심성의 가장 깊은 곳까지 꿰뚫어보는 심리적 통찰력으로, 특히 영혼의 어두운 부분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20세기 소설 문학 전반에 심오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죄와 벌 Prestupleniye i nakazaniye〉·〈백치 Idiot〉·〈악령 Besy〉·〈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Bratya Karamazovy〉 등 그의 장편소설들은 삶의 지혜와 영혼의 울림을 전달하는 데 예술이 매체로 이용된 뛰어난 본보기이며, 그에게 세계문학사상 가장 위대한 소설가의 한 사람이라는 명성을 안겨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