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다음백과

이건명

李健命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출생
1663(현종 4)
사망
1722(경종 2)
국적
조선, 한국
본문 이미지 이건명

이건명 이건명 영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종대의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 할아버지는 영의정 경여이며,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민서(敏叙)이다. 1686년(숙종 12) 춘당대문과에 급제하여 설서·수찬·교리·이조정랑 등을 지냈다. 1697년 응교로 있을 때 시폐(時弊)를 지적하고 제왕이 취해야 할 도리 및 경세·이민(理民) 방책과 병제·양역(良役)·전정(田政) 등에 대해 건의한 〈진계소 陳戒疏〉를 올렸다.

1698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우승지·대사간·이조참의를 거쳐 이조·형조·호조·예조의 판서를 역임했다. 1717년 숙종이 그의 사촌형인 이이명(李頤命)을 불러 세자교체문제를 논의한 정유독대(丁酉獨對)가 있은 후 우의정에 올랐다. 1720년 숙종이 죽고 경종이 즉위한 후 좌의정에 올라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영중추부사 이이명, 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등 노론의 영수들과 함께 경종이 병이 많고 자식이 없으니 하루 속히 왕위계승자를 정할 것을 건의했다.

이 주장이 관철되어 1721년(경종 1) 8월 연잉군(延礽君 : 영조)이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되자, 책봉주청사(冊封奏請使)로 청나라에 갔다. 그러나 그가 청에 간 사이 경종이 소론을 비호하는 태도를 취하자 김일경(金一鏡)을 중심으로 한 소론 과격파는, 세제대리청정을 요구한 조성복(趙聖復)과, 청정명령을 받들어 행하고자 한 노론4대신이 모역한다고 소를 올렸다.

이 일로 소론이 정권을 잡았고, 1722년 귀국한 그는 청나라에서 세제책봉의 명분으로 경종이 병이 있는 것처럼 발설했다는 죄로 나로도(那老島)에 유배된 후, 소론의 맹렬한 탄핵을 받아 유배지에서 죽었다(→ 신임사화). 1724년 영조가 즉위하고 노론이 다시 정권을 잡자 신원(伸寃)되었다. 시문에 능하고,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다. 저서에 〈한포재집〉이 있다. 과천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 서하사(西河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콘텐츠 저작권 규정 오류 수정 문의
#역사인물 #한국인물 인기글

관련 멀티미디어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