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팜므 파탈
femme fatale프랑스어로 '치명적인 여인'을 뜻하는 용어. 이 용어는 1940년대 필름 누아르 장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대부분 필름 누아르의 남자 주인공은 범죄 혹은 음모로 인해 타락하거나 파멸한다. 남자 주인공의 파멸은 대부분 여성의 유혹과 관련을 맺는데 여기서 '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인 여성' 특히 '남자를 위험과 재앙으로 이끄는 여성'을 뜻하는 '팜므 파탈'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혹자는 이 용어 대신에 팜므 누아르(femme noire)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좀 더 넓게 보면 이 용어의 기원은 1920년대 무성 영화 혹은 1930년대 고딕 영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고딕 영화에서 검은 드레스를 입고 요염하면서도 신비스런 자태로 긴 담뱃대를 사용해 연기를 뿜어대는 요부(vamp)는 남성을 유혹하고 죽음으로 이끄는 팜므 파탈 이미지를 보여 줬다. 이 시기 치명적인 힘을 지닌 요부의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 준 배우로는 테다 바라(Theda Bara), 마를레네 디트리히(Marlene Dietrich)가 있다.
1940년대 누아르 영화에서는 수잔 헤이워드(Susan Hayward)나 라나 터너(Lana Turner) 등이 팜므 파탈의 전형을 만들었다. 이런 여성상은 1960년대 변형기를 거쳐 1980년대 로렌스 캐스던(Lawrence Kasdan)이 감독한 〈보디 히트〉(Body Heat, 1981)의 캐슬린 터너(Kathleen Turner), 1990년대 폴 버호벤(Paul Verhoeven)이 감독한 〈원초적 본능〉(Basic Instinct, 1992)의 샤론 스톤(Sharon Stone)과 같은 새로운 팜므 파탈을 만들어냈다. 한국 영화에서 대표적인 팜므 파탈은 이석기가 감독한 〈아주 특별한 변신〉(1994)에서의 이혜영, 곽지균이 감독한 〈장미의 나날〉(1994)과 정지영이 감독한 〈블랙 잭〉(1997)에서의 강수연을 들 수 있다.
남성을 유혹하고 파멸로 이끄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는 오랫동안 페미니스트의 비판 대상이었다. 빌리 와일더(Billy Wilder)가 감독한 〈이중 배상〉(Double Indemnity, 1944)의 바바라 스탠윅(Barbara Stanwyck), 오손 웰스(Orson Welles)가 감독한 〈상하이에서 온 여인〉(The Lady from Shanghai, 1947)의 리타 헤이워스(Rita Hayworth), 빌리 와일더(Billy Wilder)가 감독한 〈선셋대로〉(Sunset Boulevard, 1950)의 글로리아 스완슨(Gloria Swanson) 등 팜므 파탈이 지닌 성적인 힘은 남성의 가부장적인 질서에 대한 위협과 희생을 불러온다. 하지만 여성의 죽음이나 법적 처벌을 통해 결국 가부장제는 다시 회복된다.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보디 히트〉나 〈원초적 본능〉과 같은 영화에서 성적 욕망을 지닌 여성에 대한 남성의 공포를 발견하기도 한다. 즉 팜므 파탈은 역으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여성의 전복적인 힘을 잠재적으로 보여 준다는 것이다.
-
영화사전 페르소나
그리스 어원의 '가면'을 나타내는 말로 '외적 인격' 또는 '가면을 쓴 인격'을 뜻한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은 사람의 마음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그림자와 같은 페르소나는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며 자아의 어두운 면이라고 말했다. 자아가 겉으로 드러난 의식의 영역을 통해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으면서 내면세계와 소통하는 주체라면 페르소나는 일종의 가면으로 집단 사회의 행동 규범 또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영화에서 페르소나는 종종 영화감독 자신의 분신이자 특정한 상징을 표현하는 배우를 지칭한다. 흔히 작가주의 영화감독들은 자신의 영화 세계를 대변할 수 있는 대역으로서 특정한 배우와 오랫동안 작업한다. 이때 배우는 작가의 페르소나(가면)가 된다.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는 장 폴 벨몽도(Jean-Paul Belmondo), 마틴 스코시스(Martin Scorsese)는 로버트 드 니로(Ro
-
영화는 쉬지 않는다 식스 센스
'총 제작비 4천만 달러, 4주 연속 북미 박스오피스 1위(73일째 흥행 총수입 2억 5천만 달러), 역대 디즈니에서 제작한 영화 중 〈라이언 킹(The Lion King)〉에 이어 2위, 역대 미국 영화 중 박스오피스 20위.' 위와 같은 기록을 남긴 〈식스 센스〉(1999년)는 너무도 유명한 영화라 대부분이 봤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공포 영화라는 장르임에도 이전에 개봉된 공포 영화들과 다른 품격이 있다. 시청각적으로 요란한 방식으로 자극을 주는 공포보다 심리적 저변에 은근히 스며들게 하는 공포라고나 할까? 〈식스 센스〉는 영화 〈사랑과 영혼(Ghost)〉(1990년)의 핵심 모티프인 죽은 남자가 살아있는 아내를 그리워한다는 이야기의 모티프를 좀 더 극단화시킨 작품이다. 그 극단화 방식은 유령을 볼 수 있는 특수한 감각을 가진 소년의 등장과 예상하기 어려운 반전을 통해서 이뤄진다. 'Not every gift is a blessing!(모든 천부적 능력이 축복받은 것은
-
무인도에 떨어져도 음악 〈사운드 오브 뮤직〉 OST
누구에게나 듣기만 하면 주체할 수 없는 향수가 밀려오는 노래가 있다. 첫사랑에 빠졌을 때 들었던 유행가, 어릴 적 엄마가 잠들기 전에 불러 주시던 노래자락, 학창 시절 수없이 듣고 부른 팝송이나 가요, 인상 깊게 본 영화의 삽입곡 등……. 이런 음악은 이미 음악적 객관성을 상실한 채 개개인의 머리가 아닌 가슴에 저장되기 때문에 싫든 좋든 평생 그 사람을 따라다닌다. 내게도 그런 음악이 몇 개 있는데, 그중 하나가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에서 줄리 앤드류스(Julie Andrews)가 부른 〈My Favorite Things〉다. 걸음마를 하던 무렵부터 아버지가 이 LP 음반을 자주 틀어놓으셨기 때문이기도 하고, 유년시절 하도 마르고 닳도록 불러서 잊으려 해도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세뇌효과이기도 하다. 이른바 '명절 명화'라 불리는 〈벤허〉, 〈사운드 오브 뮤직〉, 〈스타워즈〉 유의 영화들. 이런 대작과 명작들은 영화에 대한 호불호가 결정되기도 전
-
뮤지컬 영화 맘마미아
영화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바다가 있는 그리스 지중해의 섬에서 시작된다. 결혼을 하루 앞둔 소피는 자신의 제일 친한 친구들 알리, 리사에게 자신이 우연히 발견한 엄마의 일기장을 통해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는 세 명을 엄마 도나의 이름으로 초대했다고 말한다. 소피에게 초대된 세 명의 아버지 후보인 샘, 해리, 빌은 우연히 선착장 앞에서 만나 다 같이 빌의 보트를 타고 섬으로 출발한다. 도나의 젊은 시절에 결성했던 그룹인 ‘도나와 다이나모’의 절친한 친구들인 로지와 타냐 역시 섬에 도착한다. 서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도중에 도나의 여관 창문이 떨어지고 바닥에 금이 가는 등 여관의 부실한 점들이 드러나게 된다. 엄마 도나의 옛 연인들이 도착하면 한눈에 자신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알 수 있을 것 같다던 소피는 전혀 갈피를 못 잡는다. 일단 세 명을 자신의 염소 집에 묵으라고 하며 엄마 도나가 알지 못하도록 신신당부하지만 결국 도나는 세 명의 남자를 보고야 만다. 너무나도 갑자기 옛 연인들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