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본문

다음백과

수표

水標
요약

조선시대에 한강수위를 측정하던 기구.

보물 제838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1441년(세종 23) 가뭄과 홍수가 겹쳐 많은 피해를 당하자 정확한 강우량을 측정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측우기를 고안하고 아울러 수표를 발명하여 설치했다. 수표는 서운관에 있었던 학자들의 공동연구에 의해 창안되고 호조에서 주관하여 측정했던 장치이다. 〈세조실록〉에는 수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본문 이미지 수표

수표 수표, 조선시대에 한강의 수위를 측정하던 기구, 보물 제838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전교(馬前橋 : 지금의 청계천 수표교 부근) 서쪽 물속에 넓은 돌을 놓고 그 위를 파서 부석(趺石)을 세운 다음 그 가운데에 네모난 나무 기둥을 끼워 쇠갈고리로 부석과 함께 고정시켰다. 나무기둥에 자[尺]·촌(寸)·푼의 눈금을 새겨서 본조의 낭청이 빗물의 깊고 얕은 치수를 살펴 보고하게 했다. 또 한강변의 암석 위에 자·촌·푼의 눈금을 새긴 표를 세워 도승이 물의 깊이를 재서 본조에 알려 보고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수표는 1441년에 처음으로 서울의 중심부를 흐르는 청계천의 반목재 수표와 한강변의 바위에 눈금을 새긴 표석으로 각각 설치되었다.

그러나 반목재인 청계천의 수표는 부식되기 쉬웠으므로 곧 석재로 개량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 수표석(水標石)이 서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성종 때까지는 석재로 개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세종대왕기념관에 보관되어 있는 수표는 길이가 약 3m, 너비가 약 20㎝의 화강석으로 된 6각기둥 모양의 석주이다.

석주에는 양면에 자단위까지 표시한 것으로 1~10자가 새겨져 있다. 특히 3자·6자·9자의 눈금 위에는 ○표 안에 강우량의 정도를 헤아리는 갈수(渴水)·평수(平水)·대수 등의 글자가 있다. 즉 6자 안팎의 수위가 보통 수위(平水)인데, 9자 이상이 되면 위험하다고 알리는 것이다. 이것은 세종 때 촌·푼의 단위까지 측정했던 것에 비하면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위험수위를 표시했다는 점이 새롭다.

오늘날에도 한강홍수통제소에서는 수표에 의한 수위측정의 전통을 계승하여 한강인도교에서 수위를 측정·관리하고 있다. 현존하는 수표의 확실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다. 마전교에 있던 이 수표는 1960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장충단 공원으로 수표교와 함께 옮겨져 보존되어오다가, 1973년 10월에 세종대왕기념관으로 옮겨졌다.

관련 태그 #조선
콘텐츠 저작권 규정 오류 수정 문의
#조선 인기글

관련 멀티미디어0 닫기